안녕하십니까?
세상에 도움되는 모든 지식 모아 공유해드리는 뽕뽕 빠빠입니다.
자신의 성격유형 및 특성 파악 MBTI검사
오늘은 놀면 뭐하니? 에서 유재석, 이효리, 비가 프로그램에 나와 성격유형검사로 핫한 MBTI 검사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장마기간이라 비와 코로나 까지 겹쳐 야외 활동하기 어려운 요즘 시국 집에서 TV 시청이 늘어나시면서 요즘 깡으로 핫해진 비가 출현한 놀면 뭐하니? 한 번씩 보셔서 아실 텐데요 MBTI 검사 시 자기는 어떤 유형 일까 궁금하시죠??
그래서 저가 준비했습니다 MBTI 검사 Let's get it
비와 이효리와 유재석의 검사 결과인데요 유형별 특징들이 정말 비슷하더라고요.
비는 천상 연예인의 성격인 ESFP라고 합니다. 역시 월드스타인가요.
MBTI 검사란?
MBTI의 사전적 설명부터 알아볼게요.
밑에 내용을 요약하자면 MBTI 성격유형검사란
총 16가지의 성격유형이 있고 이들을 4가지 조합하여 어떤 유형인지 판단합니다.
마이어스(Myers)와 브릭스(Briggs)가 융(Jung)의 심리 유형론을 토대로 고안한 자기 보고식 성격 유형 검사(MBTI)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마이어스(Myers)와 브릭스(Briggs)가 스위스의 정신분석학자인 카를 융(Carl Jung)의 심리 유형론을 토대로 고안한 자기 보고식 성격 유형 검사 도구이다. MBTI는 시행이 쉽고 간편하여 학교, 직장, 군대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MBTI는 다음과 같은 4가지 분류 기준에 따른 결과에 의해 수검자를 16가지 심리 유형 중에 하나로 분류한다. 정신적 에너지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외향-내향(E-I) 지표, 정보 수집을 포함한 인식의 기능을 나타내는 감각-직관(S-N) 지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결정 내리는 사고-감정(T-F) 지표, 인식 기능과 판단 기능이 실생활에서 적용되어 나타난 생활양식을 보여 주는 판단-인식(J-P) 지표이다. MBTI는 이 4가지 선호 지표가 조합된 양식을 통해 16가지 성격 유형을 설명하여, 성격적 특성과 행동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MBTI 검사가 무엇인지 알아봤으니 궁금하니 나의 MBTI유형은 어떤 것인지 검사해봐야겠죠?
바로 가시죠 MBTI 검사 바로가기
MBTI 검사 바로가기
무료 성격 유형 검사, 성격 유형 설명, 인간관계 및 직장생활 어드바이스 | 16Personalit
16Personalities 검사가 너무 정확해 "살짝 소름이 돋을 정도예요"라고 성격 유형 검사를 마친 한 참여자는 말했습니다. 쉽고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성격 유형 검사를 통해 당신이 누구이며, 왜 그러��
www.16personalities.com
위의 상기 주소를 클릭하시면 MBTI 성격유형 검사 홈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는데요.
소요시간은 10분 남짓이며 총 95문항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MBTI 검사 시 유의사항으로는 질문에 대해 고민하지 말고 직관적으로 클릭하는 게 가장 자기 유형의 성격을 검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너무 큰 고민하지 마시고 빠른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저의 MBTI 검사 결과는 ISTP-T의 유형이 나왔네요.
특징으로는 귀찮음이 많고 16가지 유형 중 2번째로 IQ가 높아 귀찮음 천재형이 많다고 합니다.
특징이 저랑 80 퍼 정도는 일치하더라고요. 여러분들도 검사 후 결과 특징을 한번 비교해보세요.
MBTI 성격 유형별 특징 차트
성격유형별로 종류도 많고 분포도 다르고 성격 특징도 다다르더라고요.
그리고 성격별 궁합도 있답니다.
여러분은 어디 유형에 속하시나요?? 검사 후에는 유형별 유명인도 나오더라고요.
요즘 핫한 MBTI 검사 여러분도 한번 시행해보세요.
오늘은 이렇게 MBTI 성격 유형검사에 대해 포스팅해봤는데요.
다음에는 더 흥미롭고 재밌는 주제들로 여러분들을 찾아오겠습니다.
대구 2차재난지원금! (0) | 2020.08.13 |
---|---|
병화일주 사주특징 (0) | 2020.08.13 |
UFC 김동현 선수 다방면으로 활동중 근황 (0) | 2020.08.13 |
한약 복용중 술? (0) | 2020.08.06 |
지역사랑상품권 활용꿀팁 (0) | 2020.08.05 |
댓글 영역